러시아 4대음유시인 한국계 율리 김 서울에
페이지 정보
뿌쉬낀하우스 작성일13-10-23 10:19 조회3,648회 댓글0건본문
러시아 4대음유시인 한국계 율리 김 서울에
러시아 바르드음악(음유시)은 1950년대 후반 스탈린 체제에 항거하기 위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등장한 지식인 문화운동이다. 자작시에 선율을 얹어 노래하던 중세 유럽의 음유시인에 기원을 둔 바르드는 언론의 자유, 사상의 자유가 봉쇄된 암울한 시대에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얼어붙은 러시아인들의 심장에 따뜻한 숨결을 불어넣었다.
러시아 바르드음악 1세대이자 최고봉으로 추앙받는 한국인 2세 율리 김(69)이 생애 처음으로 아버지의 나라를 찾았다. 시선집 ‘율리 김, 자유를 노래하다’(뿌쉬낀하우스)의 국내 출간에 맞춰 자신의 시와 노래를 직접 들려주기 위해서다. 지난 26일 오후 부인과 함께 서울에 온 그는 “TV뉴스에서만 보던 아버지의 고향땅을 밟게 돼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TV에 비친 한국의 이미지는 아름다운 자연과 역동적인 정치현실이 어우러진 ‘재밌고, 놀라운 나라’였다.
그는 1936년 모스크바에서 한국인 아버지와 러시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신문기자였던 아버지 김철산은 그가 두 살때 간첩 누명을 쓰고 처형됐고, 어머니 역시 간첩의 아내라는 이유로 8년 간 감옥생활을 했다. 어릴 때 외가에서 자란 그는 대학생이 되어서야 아버지의 죽음에 얽힌 비밀을 알게 됐다.
러시아 바르드음악 1세대이자 최고봉으로 추앙받는 한국인 2세 율리 김(69)이 생애 처음으로 아버지의 나라를 찾았다. 시선집 ‘율리 김, 자유를 노래하다’(뿌쉬낀하우스)의 국내 출간에 맞춰 자신의 시와 노래를 직접 들려주기 위해서다. 지난 26일 오후 부인과 함께 서울에 온 그는 “TV뉴스에서만 보던 아버지의 고향땅을 밟게 돼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TV에 비친 한국의 이미지는 아름다운 자연과 역동적인 정치현실이 어우러진 ‘재밌고, 놀라운 나라’였다.
그는 1936년 모스크바에서 한국인 아버지와 러시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신문기자였던 아버지 김철산은 그가 두 살때 간첩 누명을 쓰고 처형됐고, 어머니 역시 간첩의 아내라는 이유로 8년 간 감옥생활을 했다. 어릴 때 외가에서 자란 그는 대학생이 되어서야 아버지의 죽음에 얽힌 비밀을 알게 됐다.
서울신문 2005-10-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